- 아티스트
- XODIAC
- 앨범
- SOME DAY
- 발매일
- 1970.01.01
3. 신경계의 구성
1)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1) 말초신경계
감각 및 운동 신호의 전달과 자율적인 반응을 담당하며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로 구분할 수 있다.
체성신경계는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신경과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으로 구분되며, 수의근(voluntary muscle)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자율신경계는 주로 호르몬이나 체액을 분비하는 분비샘(gland)이나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으로 신호를 보낸다.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호흡, 긴장했을 때 흘리는 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때 두근거리는 심장 등이 자율신경계 활동의 예로 볼 수 있으며, 뇌의 통제 혹은 우리의 의식적인 통제 없이 자율적으로 신체 반응을 조절한다.
자율신경계는 서로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와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로 분류하며, 우리 몸을 이루는 대부분의 장기는 교감 및 부교감 신경계 모두의 지배를 받아 평상시에는 두 신경계의 영향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교감신경계는 위기 상황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반응을 만들어 내지만, 부교감신경계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교감신경계의 반응을 통제하는 뉴런들은 척수의 흉추(thoracic)와 요추(lumbar)의 영역에서 비롯되며 이들 뉴런의 신경섬유는 척수를 지나 교감실경절에서 시냅스를 맺고 각종 장기로 투사하게 된다.
교감신경절은 척수와 일렬로 분포되어 있고 이웃한 교감신경절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어 빠르게 흥분하고 한번 흥분하면 여러 신경절이 동시에 흥분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으며, 이는 교감신경계의 여러 반응이 동기화되고 신속하게 일어나게 해 준다. 반면, 부교감신경계의 신경절은 뇌간과 미추(척수의 가장 꼬리 부분) 영역에서 비롯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분포해 주로 장기와 가까이 붙어 위치하고 신경절끼리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부교감신경이 매개하는 반응들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2) 중추신경계
뇌는 척수를 통해 말초신경계와 연결되어 행동을 통제하지만 위급한 상황에서는 척수가 뇌의 명령을 받지 않고 바로 명령을 내린다. 우리가 뜨거운 물에 손이 닿았을 때 손을 빼는 반사행동이 대표적이며,
뇌는 발생학적·기능적 구분에 따라 종뇌, 간뇌, 중뇌, 후뇌, 수뇌로 구분된다. 수뇌(Myelencephalon)는 뇌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척수와 연결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연수(medulla oblongata)라고 부른다. 연수는 호흡, 혈압, 심장박동 등 생명을 유치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망상체(reticular formation)는 뉴런들이 특정 핵(nucleus, 뉴런들이 덩어리로 모여있는 구조물)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넓은 영역에 걸쳐 복잡한 상호 연결을 맺으며 그물 같은 망을 이루고 있는 구조로, 연수에서 중뇌에 이르는 구간에서 중심부에 길게 퍼져 있는 구조이며 각성과 주의에 관여한다. 소뇌(cerebellum)는 자세를 유지하고 신체의 균형을 잡아 신체기관의 움직임을 조화롭게 해 주는 운동협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연수의 앞쪽에 살짝 튀어나와 있는 교(pons)는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중뇌(Mesencephalon)는 교와 간뇌 사이에 자리 잡은 부위로, 중뇌개(tectum)와 그 안쪽의 중뇌피개(tegmentum)로 나뉜다. 중뇌개는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 시선을 자동으로 옮기는 도약안구운동을 담당하는 상소구(superior colliculus)와 청각 관련 반사행동에 관여하는 하소구(inferior colliculus)로 이루어져 있다.중뇌피개는 여러 하위 핵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중 중뇌수도주변회백질(periaquiductal graymatter: PAG)은 통증과 관련된 감각과 종 특이적인 공격 혹은 방어행동에 관련되어 있다. 흑질(substance nigra)은 운동 조절에 관여하며, 이곳에 있는 도파민성 뉴런의 변성이 파킨슨병을 일으킨다. 적핵(red nuclens)은 팔과 다리를 포함하고 신체의 운동조절에 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