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13 [심리학 개론] 감각기관 - 청각(소리, 귀) 2) 청각기관(1) 소리 무서운 영화를 볼 때 귀를 막으면 무서운 느낌이 줄어든다. 이를 통해 우리 생활에서 청각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청각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자극을 소리가 하며 소리라는 물리적 에너지는 대개 성대나 첼로의 현 같은 물체의 진동에서 생겨난다. 이들 물체가 진동을 하면 그 물체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내 공기 분자의 밀도가 높았다가 낮아지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공기 분자의 반복적 밀집과 분산을 소리 또는 음파(sound wave)라고 한다. 공기 분자의 밀집과 분산(음파의 주기)이 초당 몇 회 반복되는지 나타내는 주파수(frequency)는 헤르츠(Hz)로 표시된다. 음파가 초당 1,000번 반복되는 소리는 1,000Hz 음, 5,000번 반복되는 소리를 .. 2024. 10. 1. [심리학 개론] 감각기관 - 시각 Steady아티스트NCT WISH앨범Steady - The 1st Mini Album발매일1970.01.011. 감각감각기관의 역할을 알기 위해 우선 감각기관의 존재 이유와 목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눈은 보기 위해, 귀는 듣기 위해, 코는 냄새를 맡기 위해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보고 듣고 냄새를 맡아야 할까? 만약 보고 듣고 냄새를 맡지 못한다면 혼자서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감각기관을 갖고 태어난 목적은 생존을 위해서라고 말할 수 있겠다. 우리는 주변 환경의 물리적 변화를 탐지하는 데 필요한 다섯 가지의 감각기관을 갖고 태어났다. 이들 감각기관은 각각 상이한 물리적 변화와 자극을 탐지하도록 특화되어 있는데 시각은 빛, 청각은 소리, 촉각은 피부에서의 변화를, 후각은 공기.. 2024. 10. 1. [심리학 개론] 뇌 연구 방법 4. 뇌 연구 방법1) 동물을 이용한 뇌수술 및 손상 연구동물 연구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그중 하나로 손상(lesion) 연구가 있다. 화학물질이나 전극을 삽입해 특정 뇌 부분의 조직을 파괴하거나 제거하여 손상 전과 후에 또는 손상을 입은 개체와 그렇지 않은 개체를 비교하여 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자극법(stimulation)을 이용해 동물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했을 때 보이는 행동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뇌종양 혹은 간질발작의 치료를 위해 뇌수술을 할 경우 사람의 뇌에도 자극용 전극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극을 통해 뇌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기능을 파악하고 기능적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뇌내 약물주입(intracranial druginfusion)은 특정 신경전달물.. 2024. 10. 1. [심리학 개론] 신경계의 구성 - 뇌의 구조(2) Keep on Moving (Korean Ver.)아티스트NEXZ (넥스지)앨범Keep on Moving (Korean Ver.)발매일1970.01.01 간뇌(Diencephalon)는 시상(thalamus)과 시상하부(hypothalamus)를 포함하는 중뇌 위쪽의 구조물로,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 정보는 시상을 거쳐 대뇌로 향한다. 시상의 외측슬상핵(lateral geniculate nucleus)은 시각 정보를, 내측슬상핵(medial geniculate nucleus)은 청각 정보를, 복후측핵(ventral posterior nucleus)은 체감각 정보를 대뇌피질로 전달한다.시상하부는 시상의 밑부분에 붙어 있는 작은 부분으로 자율신경계와 호르몬의 분비를 통제함으로써 종의 생존과 관련된 여러 행.. 2024. 9. 30. [심리학 개론] 신경계의 구성 - 뇌의 구조(1) OUR DAYS아티스트XODIAC앨범SOME DAY발매일1970.01.013. 신경계의 구성1)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1) 말초신경계감각 및 운동 신호의 전달과 자율적인 반응을 담당하며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로 구분할 수 있다.체성신경계는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신경과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으로 구분되며, 수의근(voluntary muscle)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자율신경계는 주로 호르몬이나 체액을 분비하는 분비샘(gland)이나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으로 신호를 보낸다.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호흡, 긴장했을 때 흘리는 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때 두.. 2024. 9. 30. [심리학 개론]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2 (시냅스 전달과 신경전달물질) 3)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활동 전위가 축색의 끝에 도착하게 되면, 다음 뉴런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런 뉴런과 뉴런 사이는 물리적으로 붙어 있지 않고 '시냅스(synapse)'라는 틈을 두고 있다. 시냅스를 사이에 둔 두 뉴런은 시냅스 앞에 위치해 정보를 주는 뉴런을 '시냅스 전 뉴런(presynapse neuron)'이라 하고 시냅스 뒤에 위치해 정보를 받는 뉴런을 '시냅스 후 뉴런(postsynapse neuron)'이라고 하며, 시냅스를 통한 정보 전달은 화학적 방법으로 일어난다. 즉 시냅스 전달은 뉴런을 통해 축색종말에 도달한 전기적 신호는 화학적 방법으로 다음 뉴런에게 전달되는데 시냅스 전 뉴런에서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간극을 지나 시냅스 후 뉴런의 수용기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받게.. 2024. 9. 29. 이전 1 2 3 다음